ABOUT ME

-

Today
-
Yesterday
-
Total
-
  • 성전(Temple)3 / 폴의성경특강81
    폴성경특강 2022. 3. 20. 13:28

     

      성전(Temple)3

     폴의성경특강81

     

     

    / By Paul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[1] 과정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느브갓네살왕의 솔로몬 

    성전 훼파 이후 다시 성전을 

    재건 할 수 있었던 것은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B.C. 539년 바사왕 고레스가

    바밸론을 정복하고 모든 속국의

    포로민 들에게 유화 정책을 

    실시함으로 인하여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포로들도 각각 고국으로

    귀환하여 성전을 재건 할 수

     있도록 허락 하였기 때문 입니다.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[2] 성전 지대 건축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이스라엘 포로 귀환 제 2년째 

    B.C. 536년에 스룹바벨이

    (유다왕 여호야긴의 손자이며 

    포로 귀환  '유다'의 총독)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전 지대 건축의 책임을 맡고 

    시작하게 되었습니다. 

    (스3:8)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그러나 그 지대의 크기가 솔로몬의 

    성전 보다 훨씬 작았기 때문에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솔로문의 성전의 크기와 웅장함을

    익히 알던 노인들은 슬퍼서

    대성 통곡을 하였습니다.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[3] 성전 공사의 증단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사마리아 사람들이 성전 

    재건 공사의 동참 요구가 거절되자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바사국 관료들에게 뇌물을 주어 

    성전 재건을 중단케 한 관계로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바사왕 고레스 4년(B.C. 536)부터 

    다리오 제2년(B.C. 520)년 까지 

    약 16년간 공사가 중단 되었습니다.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이로 인하여 백성들은 낙담과

    이기주의로 인하여 무사

    안일 주의에 빠져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성전 재건의 의욕을 잃어 

    버리게 되었습니다.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[4] 성전 공사의 재개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그러나 학개, 스가랴 선지자의

    책망과 권고로 성전 재건 공사가 

    다시 시도 되었으며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이어 다리오왕의 성전 재건 

    허가를 받고 공사를 시작하여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4년만인 B.C. 516에 성전이

    완공 되었습니다. 

    (스4:24)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[5] 의미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이 성전도 솔로몬 성전과 같은 장소에

    같은 설계와 양식대로 세워 졌지만 

    성전기구들과 모든 것들이 전에

    것만 훨씬 못하였습니다.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이에 따라 성전으로 대표되는 권위는

    더 이상 왕의 것이 될 수 없게 되었고 

    전적으로 제사장의 몫으로

    바뀌게 되었습니다.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또한 성전의 중요성이 현저히 약화된 

    것은 성전 안에 언약궤가 없었으며, 

    대제사장도 우림과 둠빔을 소유하지 

    못했다는데 있습니다.

    (스2:63).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이는 선민 이스라엘에만 임재 

    하신다는 민족신의 사상에서

    벗어나 성전의 실제이신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예수 그리스도의 강림 하심을 통하여 

    전 인류가 구원받는 시대가 올 것임을

    상징하는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.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- 계속 -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2011/02/23

     

     

    / By Paul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Designed by Tistory.